모기지, 재무설계사 등 밴쿠버 한인 금융 전문가님들은 언제든지 [밴집 금융 전문가 컬럼]에 정보 공유를 환영합니다.
전문가 컬럼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권한을 드릴테니 이메일 연락 부탁드립니다 ([email protected]).
투자

캐나다 투자공부,투자자들이 2023년 시장변동에 반응할 필요없는이유

실버
02-03
164

< 투자자들이 2023년 시장변동에 반응할 필요없는이유 >

현직 캐나다 투자 고문(securities advisor)이 설명드립니다
 

오늘도 여김없이 밴쿠버는 날씨가 따뜻하고 평범한 겨울로. . 아주 평범한 금요일이 지나가고 있다. 오늘은 캐나다에서 투자를 하고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 글을 남겨본다.

​사실 한국이든 캐나다든, 2022년부터 지금까지 최근에 주식/채권 포트폴리오/펀드/ETF를 주로 하신 분들 중에는 스트레스를 받아오신 분들이 참 많으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신 분들 중에는 주로는 투자에 대해 이해를 잘 못해서 심리적으로 불안하신 분들이 많고, 사람마다 투자를 하는 시기와 기간이 모두 다른데, 무작정 이자가 나온다는 얘기만 듣고, GIC가 뭔지도 모르시면서 그냥 가입하시는 분도 많으시고, 주식 펀드도 종류가 정말 다양한데, 뭔지 모르시고 그냥 아무거나 가지고 살고계신 분들이 많다. 오늘의 글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본다.

 

 

1. 경기불황(원인)에 투자자의 불안한 심리(결과) 분석

 

여유가 많은신 분들이야, 시기가 불황이든 별로 크게 신경을 안쓰시지만, 여유가 없으신 분들일수록 불황기일때 더 초조해하시고, 더 불안해하시는데, 가장 위험한 행동은, 이 분들이 본인의 불안한 심리를 현실로 적용해서, 손해난 자금에서 모두 현금으로 바꾸시는 분들이다. 그럼 손실도 나고, 시간도 낭비하고, 이익은 하나도 없는 셈이다. 물론, 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고, 개인마다 지식의 깊이는 다르겠지만, 나는 또 일을 이쪽으로 하다보면 1년에 수백명 이상 만나다보면, 경험상 저러한 감성적인 고객분들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때문에, 만약에 본인이 엄청난 시장 전략을 가지고있는 경우라면. . 미래가 예측이 가능하다면. . 시장이 떨어졌을때, 현금을 만드는 선택이 맞을 수 도 있지만, 그게 아닌 투자자들이 그냥 기삿거리나 불안감을 조장하는 미디어를 시청하시면서, 굉장히 감성적으로 변하시는 경우가 많다. 근데 그 감성은, 곧 상상으로 이어지시는데. . 그 상상은 본인이 시장에서 오랫동안 버티다가 돈을 빼는 손해 매도 현상을 이끈다. 자. 저 정도까지 왔다면, 여기선 어떤 전문가가 나서서 얘기를 나눠도, 잘 모르고 시작한 비전문가인 투자자들은 하나도 듣고싶어하지 않는다. 또 생각해보면, 코로나 2020년 이후로 많은 20대들이 잘 모르고 뛰어들었던 투자, 2022년부터 현재까지 많은 20/30대들이 투자시장에서 순식간에 빠져나간 느낌이다.

거게다 투자를 포트폴리오로 운영하는 펀드와 ETF들 또한 그 어떤 잘나가는 CFA재정분석가든, 관리를 잘 하지 못했던 은행들 소속의 캐나다 CFA들은 안그래도 떨어지는 성장주에 더 하향세를 만들어버리는 은행들도 많았어서(*물론 성장주지만 손해를 덜 만든 훌륭한 캐나다 CFA들도 많았음), 많은 캐네디언 고객분들이 은행에 대해 배신감을 가지기도 했다.

근데 그러한 심리의 원인을 따지고보면, 세계 경기불황도 탓을 할수도 있지만, 내가보는 원인 중에 2번째 이유는 'Lack of Financial information'이다. 근본적인 원인은 이해를 잘 하지 못해서, 결국에 심리적인 반응이 일어난게 아닐까? 그렇게 생각한다. '투자'라는 것에 대해 이해를 했고, '손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리스크'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를 했다면, '시장(market)'에 대해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다. 

 

진짜 안타까운것은, 이 심리가 투자에서는 Emotional Effect로 인한 결과라고 불리는데 투자를 잘모르고 하시는 분들은 아래의 쳇바퀴에서 영구적으로 돌고 계신다(무한반복)

  1. 시장이 떨어져있네? 떨어질때 사야돼!
  2. 흠.. ㅜㅜ 수익은 하나도 안나네?
  3. 왜 자꾸 떨어지기만 하지 ㅠㅠ
  4. 아. .너무 불안해 ㅠㅠ 내 원금 ㅠㅠ
  5. 아. . 모르겠다. 손해봤어도 그냥 찾아야지. ​
  6. (매도)아ㅜㅜ내돈ㅜㅜ그래도 다 경험이야.
  7. (몇 달 후)헐.. 내가 돈을 찾으니까 시장은 왜 올라가지?
  8. 흠. .(투자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의 연속)
  9. (결론)아니야. 근데 지금 또 했다가 또 떨어질수도 있어.
  10. (몇 달 후 폭락)아, 변동이 크네. 역시 지금은 아냐. 저러다 떨어지겠지.
  11. (몇 달 후 폭등)아. .그때 넣을걸. 지금은 너무 비싸네.
  12. (몇 년 후)흠. 아냐 불안해. 떨어질때까지 기다려야지~
  13. (세월 지나)씨.. 그때 그냥 안팔고 둘걸. 미치것다~

 

 

© aaronburden, 출처 Unsplash

 

2. 2023년에 투자 매도 하는게 맞을지, 매수 하는게 맞을지

결론부터 이야기를 나누면, 올해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추측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이라고 보시면 된다. 코로나가 전세계 대유행할거라는 것을 예측하거나 예언했던 사람이 있었을까? 없었다. 시장도 똑같다. 투자를 잘 모르는 사람이 ㅡ 시장에서 가장 어리석은 질문이 , 다음달 시장이 어떻게 되냐 는 질문이다. 시장은 종류가 다양하고, 투자도 종류가 다양하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비상금, 무동자본, 유동자본, 은퇴시점, 모두 다르다. 어떻게 다 똑같을수가 있나? 모두 다르다? 투자를 하기전에 나의 개인 상황부터 살펴봐야한다.

그렇지만, 한가지 확실하게 얘기드릴수 있는건 ㅡ 내가 지금 무엇에다 투자하고 있는지조차 모른다면, 2023년 뿐만아니라 그냥 항상~. 아무것도 투자하지마시라 얘기드린다. ;; 본인이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는데, 올해에 대한 전략도 없고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한다면 결과는 뻔하다. 그리고 2019년, 2020년에 투자를 하신 분들이야 오늘도 따졌을때 그렇게 큰 손해를 보신 분들은 없을테지만, 2022년에 투자를 하신 분들은 분명 본인이 안다.

 

변동성(Fluctuation)은 투자의 일부

 

자, 그러면 내가 잘 모르고 투자했든, 알고 투자했든, 투자를 이미 시작하신 분이라면, 무엇을 알아야할까? 바로 변동성이다! 변동성은 투자의 일부다. 내가 하고 있는 투자가 적자가 나고 있다면, 투자에 대해 다시 파볼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야한다. 매도를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는 전혀 좋지 못한 전략이다. 참 재밌는건, 많은 투자자들이 떨어질때 다같이 떨어져나가고 손해를 무릎쓰고 다 팔고, 다시 상승할때 시장이 한참 올라간 후에 매수를 하려고 하는데, 가격을 높게 주고 사는데도 마음은 편안해하는 심리가 있다.

떨어질때 다 팔고. . 올라갈때 비싸게 사고. . 허허.. 저런 투자자가 되지 않으려면, 시장은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본인이 생각하는 최고의 매수날, 최고의 날을 기다리다가는. . 놓칠 위험이 더 크다. 아무도 예상못하기 때문이다. JP Morgan Asset Management, 2022년 퇴직가이드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SP500의 최고의 날 7일, 최악의 날 10일은 지난 20년 사이 단 14일 이내에 발생했었다. 그런데 그걸 예측가능하냐고, CFA한테 물어본들, 나같은 투자고문한테 물어본들. .우리가 미래를 보는 예언자도 아닌데. . 그러니까, 결국에는 지속적으로 투자한다는 것은 이런 의미다. 2002년에 $10,000를 SP500에 투자한 투자자가 그걸 20년동안 계속 꾸준히 나누어 투자했다면 지금 20년이 지난 2022년 기준으로는 $61,685 정도가 됬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최고의 10일(20년 역사상 최저점이었던때 구매한 투자자들)을 놓쳤다면, $28,260이 증가될 수 있었지만 놓쳤을수도 있다. 그렇지만 결국엔 꾸준히 , 지속적으로 투자하신 분들은 좋은 성과를 보았다.

3. 2023년 주식시장의 변동성, 시장변동 = 2023년도 모두 정상입니다

그러하니, 시장이 최근 불안하다고 해서, 하락했다 상승했다가 무한 반복하면서 갑자기 회전했다다 돌고돌아가고있는 현재의 투자 시장에 대해, 당연한 것이라고 받아들이고 이해하시기를 바래본다. 여기서, 본인의 심리적인 불안함을 투자에 반영해서 충동적으로 손해보는 행동만큼은 하지 않기를 바래본다.

또, CFRA Research 수석 투자전략가인 Sam Stovall이 "전세계에서 투자의 변동성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라고 그랬는데, Stovall 씨의 관점을 읽어보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셔서 모든 기사를 읽어보시길 바라며,

Sam Stovall Author

본인 자존심으로 내가 시장의 타이밍을 잡겠다 생각하면서, 최고의 날 최악의 날을 기다리고 있을 시간에 꾸준히 + 지속적인 투자를 끊임없이 하시기를 바라며, 아까도 언급했지만, 본인이 뭘 하는지 모른다면 아무것도 하지 마시기를 바래본다.

그렇지만, 물가는 계속 상승될거고, 상승된 물가에서 가격낮추기는 쉽지 않을것이며, 고령화사회로 국가 재정문제, 현재 세대들은 은퇴는 더욱이 하기어려울거고, 돈으로 인한 가정파탄, 이혼 등 여러가지 사회적인 문제들은 더 심화될 것이라 본다. 돈이 핵심이되는 현재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끊임없이 쏟아져나올 수 밖에 없기에 투자가 필수인 시대다.

그렇기에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힘든 삶을 보내고있지만, 또 한 편으로는 세상에는 힘들지 않은 사람들도 굉장히 많다는 것을 기억하시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

.

.

요기까지, 2023년 투자에 대해 왜 불안할 필요가 없는지 에 대한 인사이트 정리해봅니다. 감사합니다.

 

투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Risk의 의미를 정확하게 아시나요? 오늘부터가 시작입니다ㅡ 공부하세요​

#무료캐나다금융수업 #캐나다투자고문 #켈리정

 

무료 캐나다 금융수업(클릭), 캐나다 경제바이블(무료배송) 이용안내

한국도 미국도 세상 어딜가나 마찬가지겠지만, 캐나다로 이민오셔서 재테크 하시는 분들도 똑같습니다. 경제는 다같이 돌고 돌아요.

 

캐나다 투자공부 끊임없이 하셔야합니다

 

.

 

 

 

Kelley Jeong 캐나다 재무설계 | 자산운용 | 개인&법인

 

[원문] https://blog.naver.com/kelleyjeong/223004749504

[사례분석 - 캐나다 고객사례] 포스팅은 저의 캐나다 고객분들의 고민 사례 & 문의 분석을 올리는 포스팅 모음집입니다.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되 내용을 오해하고, 본인의 잘못된 판단으로 혼자서 투자, 보험, 계좌, 채무 등 을 오픈하고, 받는 불이익에 대해 제가 책임져드리지 않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 연락처로 문의를 주세요. 이 포스팅에는 댓글 및 공감을 달 수 없으며, 블로그 댓글을 통해 고객 상담을 해드리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에 올라오는 모든 글과 사진들은 무단도용 금지이며, 개인 용도(공부 목적)으로 개인 용도로 캡쳐해가는 것은 허용됩니다. 그러나 동의 없이 복사 후 개인 블로그에 재업로드하시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외.

[밴집 페이스북 커뮤니티 놀러가기]  https://www.facebook.com/groups/vanjip/

태그 :
#캐나다투자공부
#2023년시장변동
#캐나다투자고문
댓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