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으로
모기지

이민 정책 둔화, 캐나다 경제는 어떻게 될까?

2
Kevin Kim
2025.09.27
추천 0
조회수 82
댓글 0

안녕하세요. Kevin 입니다.

올해 들어 캐나다 인구 증가세가 사실상 멈췄습니다. 임시 체류자(유학생·외국인 근로자) 감소 영향으로 2분기 인구 증가는 0.1%에 그쳤습니다. 불과 1년 전 분기별 성장률이 1%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흐름이 급격히 달라진 셈입니다.

ㅤ 

인구 유입은 그동안 캐나다 노동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신규 구직자가 줄어 구직 경쟁이 완화될 수 있지만, 건설업·숙련 기술직처럼 이미 인력이 부족한 분야에서는 인력난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ㅤ 

특히 정부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건설 프로젝트를 늘리려는 상황에서, 필요한 인력을 채우지 못하면 공급 속도가 늦어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ㅤ 

또한 캐나다의 주택 수요는 이민자·유학생 등 신규 유입 인구에 크게 의존해왔습니다. 인구 증가가 둔화되면:

  • 임대시장: 신규 수요가 줄며 전세·월세 상승 압력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공급 대비 수요가 빠르게 둔화되면서 안정세를 찾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 매매시장: 수요 측면에서 단기적으로 ‘숨 고르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장기적 공급 부족(특히 대도시 단독주택 시장)은 해소되지 않아, 가격 하락보다는 안정 혹은 완만한 흐름이 더 가능성이 큽니다.

ㅤ 

그럼 인구 둔화가 캐나다 경제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요?

ㅤ 

캐나다 경제는 그동안 인구 유입에 힘입어 세수와 소비 기반을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처럼 인구 증가가 거의 멈춘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영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소비: 소비자 수 자체가 늘지 않아 소매·서비스 업종의 성장세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 세수: 세금 기반이 약해지면 정부 재정에도 부담이 생깁니다.
  • 성장률: 인구 감소는 잠재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ㅤ 

이런 배경 속에서 캐나다 중앙은행은 최근 금리 인하를 재개했습니다. 약한 노동시장과 둔화된 인구 증가 → 소비 위축을 우려한 것입니다.

ㅤ 
결국 모기지 시장은 금리 인하로 단기적인 부담 완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인구 증가 둔화라는 구조적 요인이 겹치면서 회복 속도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시장 움직임은 금리 환경과 인구 흐름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ㅤ 

Kevin Kim

(778) 929-0649

[email protected]

ㅤ 

Facebook: Kevin Kim Mortgage

Instagram: @kevin.kim.mortgage

Kakaotalk Channel: Kevin Kim Mortgage

YouTube: www.youtube.com/@KevinKimMortgage-zj5ku

댓글

부동산 컬럼

리얼터, 모기지 등 밴쿠버 한인 부동산 전문가님들은 언제든지 [밴집 부동산 전문가 컬럼]에 정보 공유를 환영합니다.

전문가 컬럼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권한을 드릴테니 이메일 연락 부탁드립니다 ([email protected]).
전체 부동산 모기지 금융
작성
1 2